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혁명 - 교유서가 첫단추시리즈 10


고대의 혁명에서부터 시작해 르네상스와 종교개혁 시대에 발생한 혁명, 미국과 프랑스, 유럽과 메이지 일본의 입헌 혁명. 러시아와 중국, 쿠바의 공산혁명, 멕시코와 니카라과, 이란 등의 독재자에게 저항한 혁명, 동유럽과 소련, 우크라이나의 색깔 혁명, 튀지니, 이집트, 리비아 시리아의 아랍 혁명에 이르기까지 혁명은 왜 일어나는지, 왜 우리를 놀라게 하며, 역사의 진행 과정에서 혁명은 어떻게 발전했는지 등을 혁명 사건, 혁명의 지도자, 혁명의 결과를 들여다본다. 덧붙여 혁명의 주요 이론과 혁명의 원인 등을 살펴보고 혁명의 미래를 예측한다.저자에 따르면 혁명은 사회정의의 이름으로 대중을 동원하여 (군사적 동원이든 민간인의 동원이든, 둘 다든) 정부를 강제로 무너뜨리고 새로운 정치제도를 창출하는 것이다. 역사상 극적이고 영향력 있는 혁명 들을 이해하기 위한 좋은 입문서인 것 같다.
무엇을 혁명이라 하는가?
무엇이 혁명의 성패를 가르는가?

고대의 혁명에서 최근의 아랍 혁명까지, 이 분야의 대가가 총체적으로 설명!
①경제적·재정적 압박, ②엘리트의 소외와 대립, ③불의에 대한 대중적 분노의 확산,
④설득력 있는 저항 서사의 공유, ⑤우호적 국제 관계 ― 이것이 혁명의 조건이다

혁명은 왜 일어나는가? 왜 우리를 놀라게 하는가? 역사의 진행 과정에서 혁명은 어떻게 발전했는가? 그것은 국내·국제 정치의 어떤 영역에 영향을 끼쳤는가? 혁명이란 정확히 무엇인가? 혁명은 그 밖의 소요나 사회 변화와 어떻게 다른가? 이 책은 혁명 사건, 혁명의 지도자, 혁명의 결과를 들여다보면서 혁명이 어떻게 세계사적 사건을 지배하고 대중적 상상력에 불을 지피는지 살핀다. 또한 혁명의 주요 이론을 논하고 혁명의 원인 등을 탐구하며 혁명의 미래를 예측한다. 저자는 혁명에 대해 ‘대중 동원 및 제도 변화’와 ‘사회 정의의 이상을 담은 추동 이념’ 둘 다의 관점에서 정의하는 것이 최선이라고 본다. 혁명이란, 사회 정의의 이름으로 대중을 동원하여 (군사적 동원이든 민간인의 동원이든 둘 다든) 정부를 강제로 무너뜨리고 새로운 정치제도를 창출하는 것이다.


1. 혁명이란 무엇인가?
2. 혁명은 왜 일어나는가?
3. 혁명의 과정, 지도자, 결과
4. 고대의 혁명
5. 르네상스와 종교개혁 시대의 혁명
6. 입헌 혁명: 미국, 프랑스, 유럽(1830년, 1848년), 메이지 일본
7. 공산혁명: 러시아, 중국, 쿠바
8. 독재자에게 저항한 혁명: 멕시코, 니카라과, 이란
9. 색깔 혁명: 필리핀, 동유럽, 소련, 우크라이나
10. 2011년 아랍 혁명: 튀니지, 이집트, 리비아, 시리아
11. 혁명의 미래

감사의 말/ 참고문헌/ 독서안내/ 역자 후기/ 도판 목록